김지똥의 공부 브이로그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김지똥의 공부 브이로그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카테고리
  • 분류 전체보기 (37)
    • 공부 (35)
      • 머신러닝 (6)
      • 최적화 (10)
      • 파이썬 (15)

검색 레이어

김지똥의 공부 브이로그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공부/파이썬

  • #13. 백준 1158번 (python)

    2025.04.24 by 김지똥

  • #13. 백준 2720번 (python)

    2025.02.25 by 김지똥

  • #12. 백준 2164번 (python)

    2025.02.06 by 김지똥

  • Optimization Methods in Finance Chapter 1.2

    2024.10.27 by 김지똥

  • [파이썬] return과 print의 차이

    2024.08.26 by 김지똥

  • #11. 백준 11718번 (python)

    2024.08.10 by 김지똥

  • #10. 백준 5622번 (python)

    2024.08.07 by 김지똥

  • #9. 백준 11654번 (python)

    2024.03.01 by 김지똥

#13. 백준 1158번 (python)

자료구조를 공부하나가 만난 문제이다. 아주 고전적인 문제라고 하는데 난 왜 어렵나.. 이거 실버 4인데 아니다 이거 체감상 실버 2는 되는 듯.. 아니면 내가 못 하는 건가.... 하하하 스택만 풀다가 이 문제도 스택으로 해보려 했는데 안 된다... 알아보니 이건 큐로 푸는 거였다... 큐가 뭐지 까먹었다.. 다시 공부한다.; 큐(Queue)란?" 쉽게 말해 줄 서기" 선입선출(First In, First Out, FIFO) 구조.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간다.기본 동작enqueue : 데이터를 큐에 넣는다 (ex: 손님 줄 서기)dequeu : 데이터를 큐에서 빼기 (ex: 맨 앞 손님 퇴장) 기본 용어Front : 큐에서 가장 먼저 나갈 데이터의 위치.예: 줄 맨 앞 사람.Rear (또는..

공부/파이썬 2025. 4. 24. 15:05

#13. 백준 2720번 (python)

이번 문제는 쉽겠지...? 일단 정답률이 70프로이기 때문에 호기롭게 도전해보았다,. T = int(input())money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coin = [25, 10, 5, 1]change = []remainder = []for i in range(T): num1 = money[i]//coin[0] # 4 num2 = money[i]%coin[0] # 24 change.append(num1) # change = [4] remainder.append(num2) # remainder = [24] for j in range(len(coin)-1): num3 = remainder[j]//coin[j] num4 = r..

공부/파이썬 2025. 2. 25. 14:55

#12. 백준 2164번 (python)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164   요즘 알고리즘 공부를 하고 있다!! 뭐라고 해야지..\  이건 정답비율 50퍼길래 도전했다 from collections import dequeN = int(input())L = deque(range(1, N+1))while (len(L)>1): L.popleft(0) num = L.popleft(0) L.append(num)print(L[0]) 큐 관련 글 읽으면서 요렇게 작성했는데... 뭐가 문제인지 런타임 에러가 난다.. 결국 정답을 보게되는데from collections import dequeN = int(input())deque = deque([i for i in range(1, N+1)])while(len(d..

공부/파이썬 2025. 2. 6. 16:13

Optimization Methods in Finance Chapter 1.2

1.2 Optimization with Data Uncertainty최적화 문제를 다룰 때 매개변수가 정해진 문제들도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다.특히 투자 수익률이나 위험, 금융 모델과 같은 변동성을 포함하는 문제에서 자주 발생한다.  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다루기 위해 두 가지 접근법이 존재한다.확률적 계획법(Stochastic Programming): 데이터의 불확실성이 확률 분포로 설명될 수 있고, 랜덤하게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된다. 즉, 데이터가 확률적으로 어떤 분포를 따를 때 이를 모델링하는 방법이다. 이 방법은 불확실성이 랜덤하게 발생하며, 우리가 그 랜덤성을 통계적으로 알 수 있는 상황에서 적합하다. (Finance에 관한 내용이니까 앞으로 이것에 집중하여 이야기 하지 않을까 ..

공부/파이썬 2024. 10. 27. 23:37

[파이썬] return과 print의 차이

항상 return에 대해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었다. print를 쓰면 되는 데 굳이 return을 쓰는 이유는?? return이 값을 반환한다고 하는데 그게 무슨 이야긴지 전혀 알 수 었었다. 그로 인하여 그에 대해 정확히 알아보고자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. 1. return역할: return 키워드는 함수에서 값을 반환하는 데 사용된다. 함수가 호출된 곳으로 값을 돌려주며, 이 값을 함수 밖에서 사용할 수 있다.위치: return은 함수 내부에서만 사용된다.함수 종료: return 키워드를 만나면 함수는 즉시 종료된다. return 뒤에 오는 코드는 실행되지 않는다.( 뒤에 오는 코드를 dead code 라고 부른다)용도: 주로 함수가 어떤 값을 계산하거나 처리한 결과를 호출자에게 돌려줄 때..

공부/파이썬 2024. 8. 26. 10:13

#11. 백준 11718번 (python)

처음에는 그냥 단순히 보이는 그대로를 적었다. 너무 쉬운 거 아닌가?? 역시 틀렸다 조건을 다시 보니 내 생각에는 처음과 마지막에서 공백이 발생하면 안 된다는 조건 때문인 것 같다. 사실 이것만 올렸지만 엄청 많은 시도를 했다. 뭐가 문제지.... 무식하게 짰다고 웃나요?? 아니겠죠.? 저는 최선입니다. 뭔가 그럴 듯 한데... 뭘까.. 저는 최선을 다했어요 답지 볼래요 ㅜㅜ 아 보니까 저건 모든 공백을 다 대체하는 거네..  그래서 이렇게 바꿨는데 또 틀림 ㅋㅋ  이것도 아니네.. GG 답을 보니 제가 풀 수 없는 문제였네요 하하 고민 많이 안 해서 다행? 링크 참고하시면 https://www.acmicpc.net/board/view/28332 요기 읽으시면 될 거 같아요 내가 생각하기로는 종결 규칙이..

공부/파이썬 2024. 8. 10. 13:40

#10. 백준 5622번 (python)

이 문제 지금 며칠 째 풀고 있는 건지바보다 바보  일단 계속 고민하다가 딕셔너리로 접근하면 어떨까 해서 일단 만들어봤는데 여기서 어캐 하지 s에 값을 어떻게 s_alpha에 매칭 시킬지...아마 틀린 방법인 듯 하다.. 다시 고민해봄   하 모르겠어   여기까지는 해봤는데 아닌 거 같고.. 일단 생각해보닌 키 부분은 튜븦처럼 절대적이라길래 키랑 벨류 위치를 바꿔봄 그리고 반복문과 이프문으로 해보려고 했는데 포기함. 이정도 고민했으면 많이 했다고 생각. 더이상으 고민은 시간 낭비라 판단. 이게 정답.. 딕셔너리가 아니었다.. index()는 리스트이 몇 번째인지를 알게 해주는 함수+3은 걸리는 시간 문제를 풀면서 느낀 점은 답을 보면 쉬운데 생각하는게 어렵다

공부/파이썬 2024. 8. 7. 06:47

#9. 백준 11654번 (python)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654 11654번: 아스키 코드 알파벳 소문자, 대문자, 숫자 0-9중 하나가 주어졌을 때, 주어진 글자의 아스키 코드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www.acmicpc.net change = input() if type(change) == str: print(ord(change)) else type(change) == int: print(chr(change)) 첨에 else를 사용했더니 오류가 나네요 change = input() if type(change) == str: print(ord(change)) elif type(change) == int: print(chr(change)) 이렇게 했더니 맞기는 한데 출력은 안 됩니다 왜죠..

공부/파이썬 2024. 3. 1. 17:36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페이징

이전
1 2
다음
TISTORY
김지똥의 공부 브이로그 © Magazine Lab
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

티스토리툴바